맨위로가기

구천 (월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천은 춘추 시대 월나라의 왕으로, 아버지 윤상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오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굴욕적인 시간을 보냈지만, 와신상담의 자세로 국력을 키워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 그러나 권력을 잡은 후 측근들을 숙청하여 월나라를 쇠퇴시켰다. 구천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인내심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권력 남용과 독단적인 통치로 부정적인 평가도 공존한다. 구천의 이야기는 여러 드라마, 소설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그의 검은 1965년에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나라 - 월왕구천검
    월왕구천검은 1965년 후베이성에서 발견된 춘추전국시대 월나라 왕 구천의 청동 검으로, 뛰어난 보존 상태와 검신 명문을 통해 구천의 소유임을 알 수 있으며, 독특한 합금 비율, 제작 기술, 칼집 밀폐성 덕분에 부식되지 않아 국외 전시가 금지된 문화유물로 후베이성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기원전 465년 사망 - 제세왕
  • 기원전 465년 사망 - 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제4대 국왕이자 다리우스 1세의 아들로,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의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정벌을 시도했으며, 페르세폴리스 건축 사업을 진행했고, 기원전 465년에 암살당했다.
  • 중국의 군주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의 군주 - 제후
    제후는 고대 중국에서 왕에게 봉토를 받아 통치하는 세습적 수장으로, 동아시아와 유럽의 봉건 제도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이묘, 귀족 등으로 불렸다.
구천 (월나라)
기본 정보
구천
왕위 계승월나라의 왕
통치 기간기원전 496년 – 기원전 465년
이전윤상 (允常)
계승녹영 (鹿郢)
사 (姒) 또는 미 (芈) 또는 팽 (彭) 또는 나 (雒 또는 駱)
이름구천 (勾踐 또는 句踐)
가문사 (姒) (논쟁 중)
왕조월나라
아버지윤상
자녀녹영, 월희
생애
사망 년도(추정) 구천 32년 (기원전 464년) 11월
이름 정보
한자勾踐
로마자 표기Gōujiàn
일본어 음독こうせん (Kōsen)

2. 생애

기원전 496년, 아버지 윤상이 세상을 떠나자 구천이 왕위를 이었다. 오나라합려는 이 틈을 타 월나라를 공격했으나, 범려의 계책으로 저리 전투(槜李之战중국어)에서 크게 패했다. 이 전투에서 월나라 장수 영고부가 쏜 화살에 다리를 다친 합려는 파상풍으로 사망했다. 합려의 아들 부차가 오나라 왕이 되면서 구천과 부차의 대립은 더욱 깊어졌다.

부차는 오자서의 도움으로 오나라를 재건하고 월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구천은 범려의 계책에 따라 부차에게 항복하고 오나라에서 부차를 섬겼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월나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구천은 이때의 굴욕을 잊지 않기 위해 ("'''회계의 치욕'''"이라 한다) 방에 쓸개를 매달아 매일 핥으며 오나라에 대한 복수를 다짐했다. 이것이 '''와신상담''' 고사의 유래이다. 이후 월나라는 국력을 착실하게 쌓았고, 부차가 중원의 회맹에 나간 틈을 타 오나라를 공격하여 태자를 죽였다. 결국 오나라는 월나라에 멸망했고, 부차는 자결했다.

오나라를 멸망시킨 구천은 월나라의 수도를 낭야(현재의 장쑤성롄윈강시하이저우 구)로 옮기고, 제후들을 모아 회맹하여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 그러나 구천은 참언을 믿어 범려가 떠나고 문종을 자살시키는 등 월나라를 쇠퇴시켰다.

2. 1. 와신상담: 복수의 시작

오나라월나라는 오랜 기간 동안 숙적 관계였다. 오왕 합려는 월나라를 침략했으나, 범려의 계책으로 패배하고 이 때의 부상으로 사망한다. 합려의 아들 부차는 복수를 다짐하며 장작 위에서 잠을 자는 와신(臥薪)의 시간을 보낸다. 오자서의 도움을 받아 월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붙인다.[2]

구천범려의 진언에 따라 빼어난 미인 서시를 부차에게 바치면서 항복을 청하고, 부차는 오자서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를 수용한다. 구천은 오나라로 가서 부차의 하인이 되어 열심히 부차를 섬겨 방심을 유도하여 다시 월나라로 돌아온다. 구천은 이때의 억울함을 잊지 않고 방에 쓴 쓸개를 매달고 매일 그것을 맛보면서 복수를 맹세하는데, 이것이 와신상담의 유래이다.[2]

이후 구천은 왕으로서의 부를 탐하기보다는, 오나라에서 섬기며 겪었던 굴욕을 기억하기 위해 백성들이 먹는 음식과 비슷한 것을 먹고, 쓸개를 맛보는 등 고통을 감내했다. 중국의 성어인 ''와신상담''(臥薪嚐膽중국어, "장작 위에서 자고 쓸개를 맛본다")의 후반부는 구천의 인내심을 나타낸다.[2]

2. 2. 오나라 멸망과 패권 장악

오나라월나라는 오랜 숙적이었다. 오왕 합려는 월나라를 침략했으나 범려의 계책으로 패하고 부상으로 사망했다. 부차가 오왕으로 즉위하여 복수를 다짐하며 월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범려는 미인 서시를 바치며 항복을 청했고, 오자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차는 이를 수용했다. 구천은 부차의 하인이 되어 방심을 유도한 뒤 월나라로 돌아왔다. 구천은 복수를 위해 방에 쓸개를 매달고 매일 맛보며 (와신상담) 복수를 맹세했다.[2]

월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문종, 범려 등과 함께 국력을 키웠다. 이들은 뇌물과 외교적 술책으로 오나라를 내부적으로 약화시켰고, 서시부차에게 보내 정사에서 멀어지게 했다.[2] 10년간의 개혁으로 월나라는 크게 발전했다. 사기에는 "개혁 10년, 국가는 부유해지고, 병사들은 후하게 보상받았다. 병사들은 목마른 자가 물을 찾아가듯 화살과 돌을 두려워하지 않고 진격했다..."라고 묘사되어있다.[2]

부차가 북쪽으로 제나라 정벌을 간 틈을 타 구천은 오나라 수도를 공격, 오나라 태자 유를 죽였다. 기원전 473년, 구천은 다시 오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3년간 포위, 함락시켰다. 부차는 자결했고 오나라는 월나라에 병합되었다. 구천은 부차를 도왔던 백비 등을 처형하고, 문종에게 자결을 강요했다. 범려는 구천을 떠났다.[2]

구천의 군대가 죄수들에게 자결을 시켜 적을 겁주었다는 오해가 있으나, "死士"는 "죽음을 각오한 병사"를 뜻하며, "自剄"은 "목을 베어 자살한다"는 의미이다.[3][4]

기원전 496년, 아버지 윤상이 사망하자 구천이 즉위했다. 합려가 이 틈을 타 월나라를 공격했으나, 범려의 기책으로 저리 전투에서 오군이 대패했다. 합려는 영고부가 쏜 화살에 부상당해 파상풍으로 사망했다. 구천과 부차의 대립은 더욱 깊어졌다.

부차는 오자서의 보좌를 받아 오나라를 재건하고 월나라를 공격,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구천은 범려의 진언에 따라 부차에게 화의를 청했고, 부차는 이를 받아들였다. 구천은 오나라에서 부차를 섬겼으나, 범려의 공작으로 월나라로 돌아왔다.

구천은 이때의 굴욕("'''회계의 치욕'''")을 잊지 않고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맹세, 와신상담 고사의 유래가 되었다. 월나라는 국력을 축적했고, 부차가 중원의 회맹에 나간 틈을 타 오나라를 공격, 태자를 참수했다. 4년 후 오나라는 월나라에 멸망했다. 구천은 부차를 저우산 군도로 유배 보내려 했지만, 부차는 자결했다.

오나라를 멸망시킨 구천은 수도를 장쑤성롄윈강시하이저우 구로 옮기고, 제후들을 회맹하여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 그러나 범려가 떠나고 문종을 자살시키는 등 월나라를 쇠퇴시켰다.

2. 3. 공신 숙청과 몰락

범려는 구천의 또 다른 총신인 문종에게 구천은 고생은 함께 할 수 있으나, 낙은 함께 할 수 없는 관상이니 떠나자고 권하였다. 하지만 문종은 범려의 말을 듣지 않고 구천 곁에 남았고, 범려는 사직하고 천하를 주유한다.[2] 구천은 공을 세운 신하들을 숙청했고, 문종 역시 죽임을 당한다.[2]

오나라를 멸망시킨 구천은 월나라의 수도를 낭야(현재의 장쑤성롄윈강시하이저우 구)로 옮기고, 제후들을 회맹하여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

그러나 패자가 된 구천은 참언을 믿어 측근인 범려가 떠나고, 문종을 자살시키는 등 월나라를 쇠퇴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3. 구천의 검

1965년, 월왕 구천의 검 중 하나로 여겨지는 청동검이 후베이성장링현 망산 1호 묘에서 출토되었다.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한 결과, 표면이 황화 구리 피막으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10] 1979년까지 3개의 구천의 검이 추가로 발견되었다.[11]

같은 후베이성에서 오왕 부차의 창도 발견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정비아어왕후(雅語王后)
계비월부인
제1후비수비(綏妃)
제2후비주희(柱姬)
제3후비서시
동생등각공주(登刻公主)
계완공주(桂婉公主)아어왕후 소생
영소공주(英昭公主)수비 소생
아들녹영구천의 뒤를 이어 월왕(재위: 기원전 463년–458년)
월희(越姬)초나라의 소왕에게 시집가 초나라의 혜왕을 낳음



구천의 검


오늘날 구천의 후손들은 구(顾)씨 가문의 일원으로 생존해 있다고 한다.

5. 가계

구천 및 월나라 왕들은 하나라의 초대 시조인 우왕의 방계 후손이라 한다. 구천은 스스로도 이를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한다.

124
구천의 가계구천
(기원전 464년 사망)
윤상
(기원전 497년 사망)
부탄


6. 대중문화 속 구천

월나라와 오나라 간의 전쟁은 여러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김용의 소설 『월녀검』과 미야자키 야스미츠의 소설 『오월춘추 호저의 성』이 구천을 소재로 한 소설이다.

배틀필드 4의 ''차이나 라이징'' 트레일러는 구천이 쓸개를 맛본 고사성어를 인용하는 중국 군인의 모습으로 시작하지만, 자막에서는 이를 공자의 말로 잘못 번역했다.

6. 1. 드라마

구천의 이야기는 여러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5]

제목방영 연도제작 국가구천 역 배우비고
정복2006년중국, 홍콩 합작류송인
왕의 부활2006년중국진보국
대부흥2007년중국진도명
동주열국 춘추편1996년중국리홍타오
불타는 오월2006년중국천바오궈
쟁패 - 월왕에게 충성한 남자-2006년중국다미엔 라우
복수의 춘추 - 와신상담 -2007년중국천다오밍부차와의 22년간의 싸움을 그린 작품
손자병법2008년중국자오하
삼국쟁란 춘추염성2008년중국장허
손자(병법) 대전2010년중국
여인들의 손자 영웅전2012년중국마이클 츠


6. 2. 기타

역사학자 폴 코헨은 저서 《역사에 말하다: 20세기 중국의 구천왕 이야기》에서 구천의 이야기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해석되고 활용되었는지 분석했다.[5]

바이러스 목인 구천목은 구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상위 강인 운창강은 그의 아버지 운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7. 평가

''와신상담''(臥薪嚐膽중국어, "장작 위에서 자고 쓸개를 맛본다")이라는 성어는 구천의 인내심을 보여준다.[2] 구천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책략으로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월나라를 강대국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권력을 잡은 후 공신들을 숙청하고 독단적인 통치를 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7. 1. 긍정적 평가

''와신상담''(臥薪嚐膽중국어, "장작 위에서 자고 쓸개를 맛본다")은 구천의 인내심을 나타내는 중국의 성어이다.[2] 구천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책략으로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월나라를 강대국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와신상담을 통해 보여준 그의 불굴의 의지와 인내심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사기(범려 열전)에는 10년간의 경제 및 정치 개혁 이후 월나라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개혁 10년, 국가는 부유해지고, 병사들은 후하게 보상받았다. 병사들은 목마른 자가 물을 찾아가듯 화살과 돌을 두려워하지 않고 진격했다..."[2]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구천의 부국강병 정책과 개혁 정치를 높이 평가하며,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 필요한 리더십의 교훈을 얻고자 한다.

7. 2. 부정적 평가

구천은 권력을 잡은 후 공신들을 숙청하고 독단적인 통치를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오나라를 멸망시킨 후, 구천은 자신을 보좌했던 문종에게 자결을 강요했고, 범려는 구천이 고난은 함께할 수 있지만 부귀는 함께할 수 없는 인물임을 알고 그를 떠났다.[2] 이는 권력 남용과 배신의 사례로 지적되며, 경계해야 할 리더십의 모습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句 https://en.wiktionar[...]
[2] Shiji
[3] Shiji
[4] 웹사이트 越王勾踐:發憤圖強、堅韌不拔 http://web.archive.o[...] Education Bureau of Hong Kong 2024-09-01
[5] 간행물 Reviewed work: Speaking to History: The Story of King Goujian in Twentieth-Century China, Paul A. Cohen
[6] 웹사이트 Megataxonomy of negative-sense RNA viruses https://web.archive.[...] 2019-01-12
[7] 문서 史記索隠
[8] 문서 越王勾践剣
[9] 문서 春秋左氏伝
[10] 웹사이트 第56回「ナノテクノロジーと磁石」の巻|じしゃく忍法帳|TDK Techno Magazine http://www.tdk.co.jp[...]
[11] 뉴스 越王勾践の剣を発見 朝日新聞 1979-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